휴런 '뇌출혈 진단 AI 소프트웨어', 식약처 승인 받아
뇌출혈 영상 판독 인공지능(AI) 소프트웨어 'cHS' 화면./사진=휴런주식회사 휴런(대표 신동훈, 신명진)은 지난달 19일 자체 개발한 ‘뇌출혈(출혈성 뇌졸중) 영상 판독 인공지능(AI) 소프트웨어(제품명: cHS)’가 식품의약안전처로부터 3등급 의료기기 제조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.cHS는 AI 기술로 뇌 CT 영상을 자동 분석해 의료진에게 출혈성 뇌졸중 의심여부를 제공함으로써 진단을 보조하는 소프트웨어다. 딥러닝 기반의 합성곱신경망(CNN) 모델로 구성된 출혈성 뇌졸중 분석 알고리즘은 확증 임상시험을 통해 민감도 96.23%, 특이도 95.38% 를 달성했다. 이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수준의 판독 능력이다.휴런은 10.8만장에 이르는 뇌출혈 환자의 뇌 CT영상 데이터를 통해 cHS를 개발했다. 이 과정에서 영상의학과 및 신경학과 전문의 10명이 출혈부위를 라벨링(labeling)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. 이 후, 최근 10년간 뇌 CT 영상을 촬영한 성인 중, 236명을 대상으로 가천대 길병원(책임: 김명진 교수)과의 임상시험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여, 식약처의 최종 허가를 승인받는데 성공했다.휴런은 올해 대학병원 등 다수의 기관을 대상으로 cHS의 성능 및 안정성에 대한 임상시험을 실시하며 본격적인 사업화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.신동훈 대표는 "휴런은 뇌신경질환 진단에 특화된 인공지능 진단 솔루션 회사로, 뇌졸중 분야에서도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"며 “궁극적으로 비조영 CT 기반 뇌졸중 종합분석/진단 솔루션을 완성함으로써 뇌졸중 진단의 패러다임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"이라고 말했다.한편, 2021년 미국심장학회(ACC)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, 전 세계 뇌졸중(stroke) 환자 수는 1억명 이상으로 추정되며, 한 해 1,200만 건 이상의 뇌졸중 이벤트가 발생한다고 한다. 미국은 인공지능분야 최초의 신기술지불보상프로그램(NTAP)으로, Viz.ai의 뇌졸중 알림기술(ContaCT)을 등재해 국가 차원에서 뇌졸중 관리의 중요성과, 이에 대한 인공지능 기술의 유효성을 동시에 보여준 바 있다.출처: 헬스조선 (https://health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22/02/10/2022021001055.html)
See More +